JEUS에는 JEUS 자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adminServer와 프로그램을 올려 업무를 서비스하는 Managed Server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Managed Server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업무 컨테이너, 업무 서버 등으로 불리는데, 여기서는 정식 명칭인 Managed Server로 통일한다.
Managed Server 생성
JEUS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항상 [LOCK & EDIT] 을 클릭해서 변경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LOCK & EDIT] 을 클릭하면 [Active Changes], [Undo All Changes] 버튼이 생성되며 변경사항을 반영할 것인지 롤백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Webadmin 로그인 > Servers 클릭 > [LOCK & EDIT] 클릭 > ADD 클릭
Managed Server 를 추가하여 다양한 업무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Servers > Basic > Basic Info 메뉴로 이동하여 내용(1, 2, 3)을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한 후,
[Active Change] 를 클릭하여 변경사항을 반영한다.
server2에 대한 설정에 대한 반영 결과가 표시된다.
server2가 추가되어 Servers 항목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anaged Server 의 BASE Port 변경
Managed Server가 생성된 후 제어를 위한 BASE 포트가 기본설정되는데, adminServer의 BASE포트인 9736 포트로 자동 생성된다.
BASE 포트를 adminServer나 기존에 추가되어있는 server1과 다르게 설정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최초에 Listen Address가 0.0.0.0으로 설정되어있는 경우, server2를 127.0.0.1로 다르게 설정하면 JEUS admin, server 간 멀티캐스트가 실패하여 정상으로 기동되지 않을 수 있으니 꼭 IP를 맞춰서 설정해야 한다.
멀티캐스트가 실패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2023.04.20 17:27:25][1] [server2-52] [SERVER-0311] Unable to get the DomainApplicationManagementService because Domain Administration Server is not yet ready. The server will remain in STANDBY. To start the server, run the command "start-server" with Domain Administration Server connected mode.
Servers > server2 클릭 > Resource 클릭 > Listener 탭 > BASE를 클릭하여 수정한다.
adminServer의 BASE 가 9736, server1의 BASE가 9936 이므로 server2는 9937 로 설정하여 테스트한다.
BASE 포트의 Address는 127.0.0.1로, Listen Port는 9737로 변경한다
변경 전에 [LOCK & EDIT]를 클릭하여 변경모드로 들어가서 설정 수정 후 [확인] > [Active Changes] 로 변경사항을 적용하는 것을 잊지말자.
모든 변경내용을 적용할 때는 항상 [LOCK & EDIT] 와 [Active Changes] 를 실행해야 한다.
Managed Server 의 HTTP 리스너 추가
Managed Server의 제어를 위한 BASE 포트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이번에는 HTTP 호출을 위한 HTTP Listen 포트를 설정한다.
Servers > server2 클릭 > Resource 클릭 > Listener 탭으로 이동하여
[LOCK & EDIT] 클릭 후 [ADD] 를 클릭한다.
server2를 위한 http2 리스너를 추가한다.
Servers > server2 클릭 > Resource 클릭 > Listener 에서 http2 리스너가 8089 포트로 추가된 것을 확인한다.
이제, 생성된 http2 리스너를 웹연결 용도로 server2에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Servers > server2 클릭 > Engine > Web Connections 탭으로 이동하여 HTTP를 클릭한다.
신규로 추가하는 Web Connections Name과 Listener를 추가한다.
하단의 Thread Pool Size 설정에서 MIN/MAX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해당 리스너가 받아들인 요청을 처리하는 Thread 개수를 설정하는 항목으로 MIN/MAX 가 클수록 한번에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확인]을 클릭후 [Active Changes]를 누르면 Web Connections에 http 리스너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anaged Server 기동 및 포트 LISTEN 확인
웹어드민에서 http리스너를 추가한 server2를 기동한다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샘플 테스트 페이지 호출해보기 (0) | 2023.04.19 |
---|---|
JEUS 구조 및 기동하기 (0) | 2023.02.17 |
WAS 설치하기 (0) | 2023.01.07 |
WAS란 무엇인가?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