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순서는 JEUS에서 동작하는 Managed Server를 추가해 보는 순서입니다.
(Managed Server는 JEUS컨테이너 혹은 JEUS업무 프로세스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여기에서는 Managed Server하고 호칭하겠습니다.)
기본 제공되는 테스트 페이지는 JEUS의 기능과 JSP/Servlet을 공부하기에 아주 좋은 샘플이므로 확인해보기로 합니다.
JEUS 웹어드민 로그인
앞 챕터에서 설명한 내용대로 DAS를 기동한 후에 웹어드민 화면으로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로그인 URL : http://127.0.0.1:9736/webadmin
JEUS server1 기동
디폴트로 추가되어있는 server1을 기동한다
server1 의 기동상태가 RUNNING으로 변경된다.
server1 호출 테스트를 위해 LISTEN PORT를 확인한다.
Servers > server1 선택 > Resource 탭 선택 > BASE, http-server1 확인
server1 샘플페이지 호출 테스트
BASE 는 해당 Managed Server 의 컨트롤 포트이고, http는 HTTP 호출을 받아서 처리하는 포트이다.
그러므로 HTTP 포트인 8088을 호출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
127.0.0.1:8088 호출 후 JEUS의 여러가지 샘플 페이지 중 Sessions APIs Test를 호출하였다.
세션 테스트 페이지를 테스트해본 후, 세션테스트 소스를 확인해 봅니다.
마우스 우클릭 > 페이즈 소스 보기 선택
테스트 소스를 다음과 같이 확인한다.
server1의 기동 및 배포정보 확인
webadmin 페이지에서 server1에 해당 소스가 어떻게 배포(deploy)되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Webadmin 화면 > Applications > exaples 클릭 > 배포 정보 확인
현재 deploy된 어플리케이션은 Id가 examples이고,
실제 실행파일이 C:\TmaxSoft\JEUS8\samples\examples.ear 로 저장되어 있으며
server1을 타겟으로 하여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을 한번씩 꼼꼼히 보면서 샘플테스트를 수행해 보면 JEUS의 기본설정과 기능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꼭 한번씩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합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Managed Server(여기에서는 server2) 를 구성하고 호출해보는 테스트를 진행하겠습니다.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 서버를 추가해보기 (0) | 2023.04.20 |
---|---|
JEUS 구조 및 기동하기 (0) | 2023.02.17 |
WAS 설치하기 (0) | 2023.01.07 |
WAS란 무엇인가?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