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를 설치하기에 앞서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앞서 설치한 OpenJDK를 이용하여 JEUS라는 WAS제품을 설치하기 때문에 OpenJDK를 설치하지 않으신 분들은 앞의 글을 참조하여 설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JEUS 다운로드
OpenJDK를 지원하는 여러 WAS들 중에서 국산 제품인 티맥스 사의 JEUS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JEUS는 국산 제품이며 Oracle사의 웹로직이나 IBM의 웹스피어와 함께 국내 상용WAS 시장을 삼분하고 있는 만큼, 기능이나 안정성 측면에서 보장할 수 있습니다.
tomcat이나 JBoss 같은 오픈소스 WAS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여기서는 JEUS를 설치하여 테스트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Tmax사에서 운영하는 테크넷에 가입하여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티맥스 테크넷은 티맥스사의 상용 제품들 WebtoB(웹서버), JEUS(WAS), Tibero(DB)등을 다운로드 받고 기술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테크넷 로그인] > [다운로드] > [JEUS]로 JEUS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여기에서 "JEUS8.5" 와 "JEUS8.5 Fix0 통합패치" 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PC환경과 맞게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받은 JEUS 설치용 파일(jeus8001_win_ko.exe)를 실행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2. JEUS 설치
jeus8001_win_ko.exe 설치파일을 실행합니다.
소개, 라이선스 합의화면에서 accept 후 Next를 클릭합니다.
32bit, 64bit를 선택합니다. 자신의 PC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설치폴더를 선택하고 (기본 위치인 C:\TmaxSoft\JEUS8를 그대로 사용)
설치구성을 "Domain Admin Server"를 선택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JDK Path를 설정하는 화면이 뜹니다.
앞서 OpenJDK 설치 후 JAVA_HOME를 설정하였다면 해당 위치가 자동으로 JDK Path 설정됩니다.
installation Mode 설정 화면에서는 개발 모드(Development Mode)로 설치할 것인지 운영 모드(Production Mode)로 설치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개발 모드에서는 소스의 동적 적용이 가능하지만, 운영 모드에서는 소스의 동적 적용이 불가능하고 데모 라이선스 사용시 모든 기능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에서는 "운영 모드"로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서비스로 등록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No"를 선택합니다.
JEUS, WebtoB 를 윈도우 서비스로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구성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입니다. 설정된 디폴트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되 어드민 네임이 너무 길면 불편하니 Admin User Name 만 "administrator" 을 "admin"으로 변경해 줍니다.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최소 7자이상 입력해야 하니 기억하기 용이한 문자열을 사용합니다.
"Next"를 클릭한 후 샘플 설치를 묻는 화면이 뜨면 "yes"를 선택합니다.
설치정보를 다시 한번 확인한 후 "Install" 을 클릭하면 설치가 마무리됩니다.
JEUS 설치 완료 화면입니다.
3. 설치 확인
"jeusadmin.cmd -version" 명령어로 JEUS 버전을 확인합니다.
"JEUS 8"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초에 JEUS가 설치되면 5User가 사용 가능한 트라이얼 라이선스(Trial License)가 기본으로 들어있습니다.
라이선스는 "jeusadmin.cmd -licenseinfo"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5User 이상의 테스트가 필요하다면 테크넷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데모 라이선스(Demo License)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OpenJDK를 사용하는 JEUS의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 서버를 추가해보기 (0) | 2023.04.20 |
---|---|
JEUS 샘플 테스트 페이지 호출해보기 (0) | 2023.04.19 |
JEUS 구조 및 기동하기 (0) | 2023.02.17 |
WAS란 무엇인가? (0) | 2023.01.07 |